연삭 공정 중 레일의 산화 거동
2024-12-25
연마재와 레일의 상호작용 중 레일의 소성 변형은 열을 발생시키고, 연마재와 레일 재료의 마찰은 또한 연삭 열을 발생시킨다. 강철 레일의 연삭은 자연 분위기에서 수행되며, 연삭 공정 중 강철 레일 재료는 연삭 열에 의해 불가피하게 산화된다. 강철 레일의 표면 산화와 레일 화상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연삭 공정 중 레일 표면의 산화 거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압축 강도가 각각 68.90MPa, 95.2MPa, 122.7MPa인 3가지 종류의 연삭석이 준비되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연삭석 강도의 순서에 따라 GS-10, GS-12.5, GS-15가 이 3가지 연삭석 그룹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3가지 연삭석 GS-10, GS-12.5, GS-15 세트로 연삭한 강철 레일 샘플의 경우 각각 RGS-10, RGS-12.5, RGS-15로 나타냅니다. 700N, 600rpm, 30초의 연삭 조건에서 연삭 시험을 실시합니다. 보다 직관적인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 레일 연삭석은 핀 디스크 접촉 모드를 채택합니다. 연삭 후 레일 표면의 산화 거동을 분석합니다.
연삭된 강철 레일의 표면 형태는 SM과 SEM을 사용하여 관찰 및 분석하였으며, Fig. 1과 같다. 연삭된 레일 표면의 SM 결과는 연삭석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삭된 레일 표면의 색상이 파란색과 황갈색에서 레일의 원래 색상으로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 Lin 등의 연구에 따르면 연삭 온도가 471℃ 미만일 때 레일 표면은 정상적인 색상으로 나타난다. 연삭 온도가 471-600℃일 때 레일은 연한 노란색 화상을 보이고, 연삭 온도가 600-735℃일 때 레일 표면은 파란색 화상을 보인다. 따라서 연삭된 레일 표면의 색상 변화를 바탕으로 연삭석의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연삭 온도가 점차 증가하고 레일 화상 정도가 증가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EDS를 사용하여 연삭된 강철 레일 표면과 파편 바닥 표면의 원소 구성을 분석했다. 결과는 연삭석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레일 표면의 O 원소 함량이 감소하여 레일 표면의 Fe와 O 결합이 감소하고 레일의 산화 정도가 감소하여 레일 표면의 색상 변화 추세와 일치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동시에 연삭 파편의 하부 표면의 O 원소 함량도 연삭석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습니다. 동일한 연삭석으로 연삭된 강철 레일 표면과 연삭 파편의 하부 표면의 경우 후자 표면의 O 원소 함량이 전자보다 높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파편이 형성되는 동안 소성 변형이 발생하고 연마재의 압축으로 인해 열이 발생합니다. 파편이 유출되는 동안 파편의 하부 표면이 연마재의 전단 표면과 마찰되어 열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파편 변형과 마찰 열의 결합 효과로 인해 파편 하부 표면의 산화 정도가 높아져 O 원소 함량이 높아집니다.
(가) 저강도 연삭석 연삭철레일 표면(RGS-10)
(b) 중강도 연삭숫돌(RGS-12.5)로 연삭한 강재레일 표면
(c) 고강도 연삭석 연삭강철레일표면(RGS-15)
그림 1. 연삭숫돌의 강도에 따른 연삭 후 강철레일의 표면형태, 파편형태 및 EDS 분석
강철 레일 표면의 산화 생성물과 레일 표면 화상 정도에 따른 산화 생성물의 변화를 더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사용하여 연삭된 강철 레일의 표면 근처 층에 있는 원소의 화학적 상태를 검출했습니다. 결과는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연삭 돌의 강도를 다르게 하여 연삭한 후 레일 표면의 전체 스펙트럼 분석 결과(그림 2(a))는 연삭된 레일 표면에 C1s, O1s 및 Fe2p 피크가 있고, 레일 표면의 화상 정도에 따라 O 원자의 백분율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레일 표면의 EDS 분석 결과 패턴과 일치합니다. XPS는 재료의 표면 층 근처(약 5nm)의 원소 상태를 검출하기 때문에 XPS 전체 스펙트럼에서 검출된 원소의 종류와 함량은 강철 레일 기판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차이가 있습니다. C1s 피크(284.6eV)는 주로 다른 원소의 결합 에너지를 보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강철 레일 표면의 주요 산화 생성물은 산화철이므로 Fe2p의 좁은 스펙트럼을 자세히 분석합니다.그림 2(b)~(d)는 각각 강철 레일 RGS-10, RGS-12.5 및 RGS-15의 표면에서 Fe2p의 좁은 스펙트럼 분석을 보여줍니다.결과에 따르면 Fe2p3/2에 기인한 710.1eV와 712.4eV에 두 개의 결합 에너지 피크가 있습니다.723.7eV와 726.1eV에 Fe2p1/2의 결합 에너지 피크가 있습니다.Fe2p3/2의 위성 피크는 718.2eV에 있습니다. 710.1 eV와 723.7 eV의 두 피크는 Fe2O3의 Fe-O 결합 에너지에 기인할 수 있고, 712.4 eV와 726.1 eV의 피크는 FeO의 Fe-O 결합 에너지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는 Fe3O4 Fe2O3를 나타냅니다. 한편, 706.8 eV에서 분석 피크가 감지되지 않아 접지 레일 표면에 원소 Fe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a) 전체 스펙트럼 분석
(b) RGS-10(파란색)
(c) RGS-12.5(밝은 노랑)
(d) RGS-15 (철제 레일의 원래 색상)
그림 2. 다양한 정도의 화상을 가진 레일 표면의 XPS 분석
Fe2p 좁은 스펙트럼의 피크 면적 백분율은 RGS-10, RGS-12.5에서 RGS-15까지 Fe2+2p3/2 및 Fe2+2p1/2의 피크 면적 백분율이 증가하는 반면 Fe3+2p3/2 및 Fe3+2p1/2의 피크 면적 백분율은 감소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레일의 표면 연소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표면 산화 생성물의 Fe2+ 함량이 증가하는 반면 Fe3+ 함량은 감소함을 나타냅니다. 산화 생성물의 다른 구성 요소는 접지 레일의 다른 색상을 초래합니다. 표면 연소 정도(파란색)가 높을수록 산화물의 Fe2O3 생성물 함량이 높습니다. 표면 연소 정도가 낮을수록 FeO 생성물의 함량이 높습니다.